관리 메뉴

IT창고

리눅스(CentOS 6,7) mysql 간단설치 및 사용법 본문

서버운영/WAS, DBMS

리눅스(CentOS 6,7) mysql 간단설치 및 사용법

방구석여포 2018. 8. 2. 21:10

리눅스에 mysql를 설치하고 테이블을 생성해보겠습니다. 

테스트PC는 CentOS6.9버전이며 설치에 관련된 정보는 다른 분들이 블로그분들이 자세히 작성되어있기 때문에 설치과정은 간략히 씁니다.


아래에 링크는 설치참고에 도움이 될만한 URL입니다.

http://millky.com/@origoni/post/1001  CentOS6.X  MariaDB설치방법

https://zetawiki.com/wiki/CentOS7_MariaDB_%EC%84%A4%EC%B9%98 CentOS 7 MariaDB 설치방법

마리아DB는 MySQL 개발자들이 오라클로 인수되면서 마리아DB를 만든것임으로 내부구조는 거의 차이가 없으며 마리아DB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. 


설치과정

yum -y install mysql-server 명령어로 설치가 가능합니다.

설치가 끝났다면 service mysqld start로 mysqld데몬을 시작시켜봅니다. 정상적으로 동작이된다면 계정 설정으로 넘어갑니다.

mysqladmin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설명이나오며 mysqladmin -u root password 'pass' 명령어로 root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.


-u 옵션으로 계정을 선택하고 -p 옵션이 패스워드인데 -p사이에 공백없이 바로 사용합니다. 제대로 로그인이 된다면 database를 확인해볼수있습니다.


Tip

웹서버를 구축할때 필요한 3가지 요소 apm(apache, php, mysql) 

mysql이 오라클로 인수되며 마리아DB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최근의 웹 서버 구성요소 설치는 XAMPP(X{windows,linux,mac} A apache, M mariaDB, P php, Perl)로 바뀌게 되었습니다. https://www.apachefriends.org/download.html 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볼수있습니다.


create 명령어로 DB를 생성하고 use 로 해당 DB를 선택합니다. 해당 DB안에 create명령어로 테이블을 만들수있습니다.

update명령어는 수정, 갱신에 사용하며 delete 명령어는 DB나 테이블을 삭제합니다.


insert 로 테이블에 내용을 추가하며 select문으로 만들어진 테이블의 내용을 조회해볼수있습니다.

 

 

CentOS 7 - MySQL 설치방법 추가

 

아래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여 설치 가능

1. yum install wget
2. wget http://repo.mysql.com/mysql-community-release-el7-5.noarch.rpm
3. rpm -ivh mysql-community-release-el7-5.noarch.rpm
4. yum update

5. yum install mysql-server
6. service mysqld start

'서버운영 > WAS, DB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entOS 7 - Postgresql 설치  (0) 2019.02.17
CentOS 7 - Nginx 설치  (1) 2019.02.16
CentOS 7 - Oracle 12c 설치  (0) 2019.02.10
Linux JDK 바꾸기  (0) 2019.02.10
CentOS 7 - JDK 설치  (0) 2019.01.20
Comments